【일본에서 일하기】요양 분야 특정기능 외국인의 국적별 체류자 수 추이

  • URLをコピーしました!

감수: 안도 유키, 공인 출입국 관리 법률 전문가 (Gyoseishoshi)
이 글은 일본어 원문을 번역한 것입니다.

요양 분야의 특정기능 외국인 수용은 심각해지는 인력 부족을 배경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아시아 각국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국적의 인재들이 각지의 요양 현장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체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출입국재류관리청의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기능 요양 분야의 국적별 체류자 수 추이를 자세히 해설합니다. 어느 국가에서의 수용이 많은지, 또한 그 증감의 배경에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채용 계획이나 지원 체계 정비에 도움이 되는 관점을 제공합니다.
Table of Contents

특정기능 ‘요양’ 체류자 총수의 추이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の推移
요양 분야의 특정기능 체류자 수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2019년 제도 시작 이후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외국인의 수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시점에서는 특정기능 요양 분야 체류자 수가 44,367명에 도달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향후에도 요양 분야의 인력 부족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9년까지 약 13만 5,000명의 수용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망으로 보아 특정기능 요양 분야 체류자 수는 향후 몇 년간에 걸쳐 증가 경향을 유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 체류 외국인 수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199395,15516,08128,40044,367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

특정기능 ‘요양’ 국적별 취업자 수의 추이

特定技能「介護」国籍別の推移 Trends in SSW Care Workers by Nationality
2024년 시점에서 요양 분야의 특정기능으로 가장 체류자 수가 많은 것은 인도네시아 국적의 외국인입니다.
2023년까지는 베트남 국적이 최다였지만, 현재는 인도네시아와 미얀마 출신자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의 국적별 체류자 수 추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베트남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베트남 출신자의 체류자 수는 2019년 제도 시작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습니다.
2023년까지는 모든 국적 중에서 최다였지만, 최근에는 신규 취업자 수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어 2024년 시점에서는 인도네시아, 미얀마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의 큰 특징으로는 기능실습에서 특정기능으로 이행하는 인재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베트남 국적자의 체류자 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23682,7305,9587,9378,910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ベトナム)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Vietnam)

인도네시아

인구 약 2억 8,000만 명을 보유한 인도네시아는 요양 분야 특정기능 인재의 체류자 수가 가장 많은 국가가 되었습니다.
2024년에는 그때까지 최다였던 베트남을 추월하였으며, 이후에도 신규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인도네시아 국적자의 체류자 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32175743,2867,41112,242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インドネシア)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Indonesia)

필리핀

요양 인재의 송출국으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필리핀은 일본에서도 많은 요양 인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 시점에서 특정기능 요양 분야의 취업자 수는 4,538명으로 많으며, 수용 기업으로부터의 평가도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필리핀의 특징으로는 정부에 의한 인재 송출 규칙이 엄격하여, 다른 국가에서 볼 수 있는 부채 문제나 실종과 같은 위험이 비교적 적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한편, 수용 시에는 절차가 복잡하며, 특히 처음으로 필리핀 인재를 수용하는 경우 수용 기업이 필리핀 정부의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필리핀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141165352,0493,4974,538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フィリピン)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Philippines)

미얀마

요양 분야의 특정기능 미얀마 출신자 수는 2024년 시점에서 11,717명에 도달했습니다.
이는 특정기능 요양 분야 전체 체류자 수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규모로, 인도네시아에 이어 2번째로 많은 국적이 되었습니다.

미얀마 출신자는 2022년까지는 5위에 머물렀지만,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주목할 만한 송출국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미얀마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0674101,9274,73011,717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ミャンマー)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Myanmar)

중국

2024년 시점에서 일본에 체류하는 중국 국적자는 84만 4,187명으로, 모든 국적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고 있는 중국 출신자는 겨우 1,103명에 머물고 있습니다.

특정기능 제도에서는 통상적으로 일본과 상대국 간에 양국간 협정을 체결하고, 그 위에서 수용에 관한 규칙을 정하지만, 2024년 현재 중국과는 이 협정이 체결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중국 국적의 특정기능 인재 대부분은 새로 입국한 사람이 아니라 기능실습에서의 이행이나 유학생으로부터의 체류자격 변경과 같은 형태로 취업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중국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0922936821,0321,103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中国)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China)

캄보디아

2024년 시점에서 요양 분야의 특정기능으로 취업하고 있는 캄보디아 국적자는 320명이 되었습니다.
현재로서는 인원수가 많지 않지만, 특정기능의 송출국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으며 신흥국으로부터의 인재도 증가 경향에 있어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캄보디아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01219182290320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カンボジア)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Cambodia)

태국

2024년 시점에서 요양 분야의 특정기능으로 취업하고 있는 태국 국적자는 334명으로, 현재로서는 많지 않습니다.
같은 해 태국 출신의 특정기능 전체 체류자 수는 5,563명이지만, 그 약 8할이 ‘산업기계제조업’, ‘농업’, ‘음식료품제조업’의 3개 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요양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은 제한적입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태국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042299237334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タイ)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Thailand)

네팔

2024년 시점에서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네팔 국적자의 수는 3,602명이 되었으며, 전체 중에서 5위의 규모입니다.
베트남이나 필리핀 등 일부 국가에서 신규 취업자 수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반면, 네팔 국적의 취업자는 계속해서 증가 경향에 있습니다.

네팔의 특징으로는 일본에 체류하는 유학생이 많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향후에는 이들 유학생이 특정기능으로 이행하여 요양 분야에서 활약하는 경우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네팔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028400138122823602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ネパール)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Nepal)

기타 국적

요양 분야에서 특정기능으로 체류하는 외국인 중, 앞서 언급한 국가들 이외의 국적자 합계는 2024년 시점에서 1,601명이 되었습니다.
특정기능 제도에서는 일본 국외에서의 시험 실시가 일부 국가에 한정되지만, 일본 국내에서 시험을 치러 합격하면 어느 국적이든 체류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아래에 특정기능 요양 분야에서 취업하는 기타 국적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를 게재합니다.
スクロールできます
Year201920202021202220232024
Number0351725179841601
特定技能「介護」在留者総数推移(その他の国) Trend in the Total Number of SSW Care Workers(Other nationalities)

정리

요양 분야에서는 요양 업무에 필요한 높은 일본어 능력이 하나의 벽이 되어, 인력 부족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재 수용에 신중한 사업자가 여전히 많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본어 능력이 높은 인재가 증가하고 있으며, 요양복지사 국가시험에 합격하는 특정기능 외국인의 수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단순한 특정기능 인재의 수용에 그치지 않고, 어떻게 인재를 육성하고 성장을 지원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특정기능 체류 중에 요양복지사 자격을 취득하면 영주 허가의 가능성이 크게 확대됩니다. 이는 사업자에게는 인재의 장기 정착으로 이어지고, 외국인 본인에게도 영주자로서 안정된 생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양측 모두에게 큰 장점이 됩니다.

이 글은 일본어 원문을 번역한 것입니다.

  • URLをコピーしました!
  • URLをコピーしました!

監修者

安藤祐樹のアバター 安藤祐樹 申請取次行政書士

きさらぎ行政書士事務所代表。20代の頃に海外で複数の国を転々としながら農業や観光業などに従事し、多くの外国人と交流する。その経験を通じて、帰国後は日本で生活する外国人の異国での挑戦をサポートしたいと思い、行政書士の道を選ぶ。現在は入管業務を専門分野として活動中。愛知県行政書士会所属(登録番号22200630号)

Table of Contents